본문 바로가기

백합과18

뻐꾹나리 백합과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숲에서 자라며, 꽃은 7월에 핀다. 꽃의 모양의 무늬가 뻐꾹새와 비슷하며, 나리꽃과 비슷하게 생겼다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2024. 10. 2.
삿갓나물 백합과 여러해살이풀로 높은 숲에서 자라며, 꽃잎은 실모양인데 5~6월에 황색으로 핀다.(2015/05/15  화악산) 2023. 6. 25.
금강애기나리(진부애기나리) (2010/06/02) 백합과 다년생초본으로 깊은 산골짜기나 고도가 높은 산림에서 자란다. 꽃은 6~7월에피고 진부에서 처음 발견해서진부애기나리라고도 한다.(2011/05/29 화악산) 2023. 6. 23.
노랑털중나리 (2013/06/17 관악산) 2023. 6. 19.
풀솜대 / 지장보살 백합과 다년생초본으로 산지와 숲속 그늘밑에서 자라며, 꽃은 5~7월에 백색으로 핀다.(2013/06/01) 2023. 6. 6.
나도옥잠화 백합과 여러해살이풀 깊은 산속이나 능선에서 자라며, 꽃은 6~7월에 흰색으로 핀다.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식물로 개체수가 많지는 않다고 한다. (20110602 가야산) 2023. 6. 2.
얼레지(화야산) 백합과 여러해살이 구근식물. 높은지대 비옥한땅에서 자라며, 반그늘 물빠짐이 좋은곳에서 자란다. 잎이 녹색에 자주빛 얼룩무늬가 있어 '얼룩취 또는 얼레지'라고 부른다. 얼레지 씨앗에서는 개미유중에서 나는 냄새가 나 개미들이 씨앗을 날라 번식이 잘되며, 씨앗을 떨어지고 4년이상이 되어야 꽃이핀다고 한다. 잎이 두장이 올라오는데 한장만 올라온 얼레지는 꽃이피지않는다. 올해도 한 잎만올라온 얼레지를 많이 봤지만 꽃대는 보지 못했다. 꽃말은 ' 질투, 바람난 여인'(다음사전) 2023. 3. 31.
산자고 백합과 여러해살이풀로, 양지쪽 풀밭에서 자라며 개화시기는 4~5월에 핀다.까치무릇과 물굿이라는 또다른 이름도 있다.(2017년4월 가의도) 2023. 3. 6.
중의무릇 백합과 여러해살이풀로,부엽질이 많은 곳에 서식하며 꽃은 4~5월에 핀다.꽃말은 '인편단심'이다.(2013년 4월) 2023. 2. 28.
얼레지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깊은 산속 낙엽수림 그늘에서 자라며, 꽃은 4월에 피고 개무릇이라는 또다른 이름도 있다.꽃이화려해서인지 꽃말은 '바람난 여인'이다.(2016년4월 화야산) 2023. 2. 26.
산자고 백합과 여러해살이풀.양지쪽 풀밭에서 자라며, 개화는 3~5월에 핀다.(2010년 3월 경기도) 2023. 2. 6.
땅나리 학명 : Lilium callisum Siebold et Zucc. 백합과 꽃은 7월에 피고 1~8개의 꽃이 밑을향해 핀다. 2022. 7. 13.